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이 같은 방침을 일부 지주사에 알렸다.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하고 그에 따른 경기 불확실성도 지속되는 만큼 지주사들이 외형 확대보다 리스크 관리와 가계·중소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에 힘써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당국 허가가 필요한 인수를 추진할 때 사업 계획과 자본건전성 등을 토대로 타당성을 더욱 면밀히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방침은 최근 신한금융지주가 두산그룹 계열 벤처캐피털(VC) 네오플럭스 인수 의사를 밝히는 과정에도 적용됐다. 신한금융은 지난달 말 이 회사 지분 100%를 약 70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미 당국의 M&A 자제 방침이 있었지만 1000억원에 미치지 못하는 비교적 소규모 거래였고 인수 후 사업계획이 혁신금융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정책 방향과 들어맞으면서 암묵적 동의를 얻었다는 후문이다.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건 우리금융지주다. 지난해 지주사로 출범한 우리금융은 비은행 부문을 강화하기 위해 연내에 아주캐피탈 등을 인수할 것으로 전망돼왔다. 앞서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이 "향후 2~3년 안에 비은행 부문 비중을 40%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경영 목표를 제시하는 등 주요 과제로 꼽힌다. 현재 우리금융 비은행 부문 순이익 기여 비중은 다른 지주사들(30%)에 한참 못 미치는 20.9%다.
아주캐피탈은 이미 2017년 웰투시인베스트먼트라는 신생 사모펀드(PEF) 운용사를 통해 주요 지분을 투자했다. 당시 우리금융은 우선매수권을 확보해 아주캐피탈 경영권을 살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고 내년 6월까지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 연내 인수는 불투명해졌다.
낮은 자본건전성 지표 때문에 인수 추진이 미뤄졌지만 지난 6월 지표를 높일 수 있는 내부등급법이 부분 도입돼 큰 숙제는 풀었다. 내부등급법이란 자체적으로 산정한 위험가중자산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표준등급법에 비해 자본건전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금융의 연내 인수 추진이 좌절된다면 금융지주사 간 형평성 문제가 도마에 오를 가능성도 있어 당국으로서는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KB금융과 하나금융은 각각 푸르덴셜생명과 더케이손해보험을 인수한 바 있다.
[정주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ugust 16, 2020 at 03:13PM
https://ift.tt/2PVeIsm
금감원 외형확대 자제 주문에 뒤로 밀린 우리금융지주 M&A - 매일경제 - 매일경제
https://ift.tt/3e28Lo4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금감원 외형확대 자제 주문에 뒤로 밀린 우리금융지주 M&A - 매일경제 - 매일경제"
Post a Comment